Blog / 한국 공공기관, ESG 경영전략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연다

한국 공공기관, ESG 경영전략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연다

공공기관 ESG 경영전략, 미래 경쟁력의 새로운 기준 제시

한국 공공기관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본격적으로 도입·확산하는 움직임이 2025년 들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정부는 ESG 정보공시 의무화와 법제화 논의를 본격화하며, 공공기관의 ESG 이행 평가 확대와 국민연금 등 공적 자금의 ESG 투자 기준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들은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 조직의 비전과 미션에 부합하는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ESG 경영전략 수립이 절실해졌다

공공기관의 ESG 경영전략 수립은 민간과 달리 공익성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정부정책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환경(E) 부문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인프라 구축, 에너지 절감 등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사회(S) 부문에서는 다양성과 포용성, 지역사회 공헌, 윤리적 공급망 관리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 주력해야 한다. 지배구조(G) 부문에서는 투명한 이사회 운영, 기관장 선임의 전문성 강화,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등 선진적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최근 조사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2025년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ESG 경영 과제로는 ‘ESG 전략 체계 구축’이 1위를 차지했으며, 임직원 교육, 내부 지표 개발, ESG 평가 대응이 뒤를 이었다. 이는 ESG가 단순히 외부 규제나 평가 대응을 넘어 전사적 전략과 조직문화로 내재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신용보증기금 등 일부 선도기관은 녹색금융, 탈탄소화 지원 등 특화된 ESG 경영체계를 구축해 모범을 보이고 있다

공공기관의 ESG 비전 수립을 위해서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글로벌 기준을 참고해 기관의 설립 목적과 연계된 ESG 목표를 명확히 선정해야 한다. 이후 각 영역별로 국제 가이드라인(GRI, TCFD, SASB 등)에 부합하는 세부 실천과제를 도출하고, ESG 추진위원회 설립, 경영선언, 실적 공개 등 체계적인 실행체계를 마련해야 한다147. 또한 임직원 대상 교육과 내부 지표 개발, 이해관계자 소통 강화 등 전사적 역량 강화가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ESG 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행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를 ESG 중심으로 개편하고, 사회적 가치와 재무성과의 균형을 맞추는 평가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기관장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를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거버넌스로 전환하고, 전문성과 책임성을 갖춘 리더십 확보가 중요하다ESG 예산은 보고서 발간, 전략 체계 구축, 평가 대응, 임직원 교육 등 내재화와 체계적 관리에 집중적으로 배분되어야 하며, 단계별 추진 로드맵과 성과지표를 명확히 설정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Conclusion

결국, 한국 공공기관의 ESG 경영전략은 공익성과 지속가능성, 투명한 지배구조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책임 실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체계적 전략 수립과 실행, 그리고 전사적 문화 내재화를 통해 민간 부문과 사회 전반의 변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Share this post
valuecompany

Looking for the latest issue?
Subscribe.

I’m sharing exactly what’s going on with the basement design project
right now and what’s happening next.

Related Posts

공공기관의 직무중심 인사관리 도입 시 고려사항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확대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전환하여, 공정한 인사관리를 확립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지속가능한 동반성장, 차별화된 ESG 경영 실현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전략과 사례 ESG 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라는 비재무적 가치를 함께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입니다.
[기고] 정책유효성 평가
정책유효성 평가제도는 정책을 폐지할 수 있는 필요 사항을 규정해 재정 낭비를 막아주는 제도다. 서울시는 23년 10월부터 예산 등을
Previous
Next
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