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company

SERVICE

(주)가치경영원은 최신 트렌드와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종합 컨설팅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국 다양한 규모 및 유형의 경영평가 경험을 갖춘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부문에 풍부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전문성과 책임감을 기반으로 고객의 높은 수행 만족도와 연속적인 재수행 실적을 자랑합니다.

저희의 SOLUTION은 다음과 같은 핵심 강점을 가집니다.

  • 전문성: 최다 실적과 정책 연계성을 통해 검증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 실용적인 산출물: 고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산출물을 제공하여 높은 고객 만족도를 이끌어냅니다.
  • 진단 시스템 기반 평가: 전국 단위 기관 실적 DB를 보유하여 객관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합니다.
  • 정책 개선 후속 지원: 평가 결과에 그치지 않고, 기관별 경영 혁신 이행 차원의 개선 과제 점검 및 후속 컨설팅 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돕습니다.

OUR SERVICE

컨설팅

경영진단 및 전략수립

  • 기관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비전 및 경영목표 설정, 중장기 발전전략 및 주요 사업 추진을 위한 세부 실행 계획과 성과 관리, 과제명세서(KPI) 설계를 지원합니다. 또한, 내외부 경영 환경, 서비스 체계, 고객 요구 사항, 기관의 조직 등을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방향성 수립과 전략 과제 개발을 수행합니다. 내부 조직 및 외부 환경 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을 진단하고 비전 전략 체계를 수립하며, 경영 전략 및 사업 단위 세부 실행 전략 수립, 중장기 전략 체계도 구축, 신규 사업 발굴을 지원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미션 및 비전 재정립
    2. 경영전략 체계도 구축
    3. 경영목표 및 전략과제 도출
    4. 전략과제 실행전략 수립
    5. 전략과제 명세서 작성
    6. 세부실행계획 수립
    7. 전략과제 연계 성과지표 관리방안 마련

조직진단 및 재설계

  • 기업의 비전과 성장 전략 달성을 위해서는 조직 내부의 역량과 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저희는 고객사가 우선적으로 확보, 강화, 개발해야 하는 조직 역량 및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인사 전략 및 제도 수립 시에 반영하여 고객사의 비전 및 전략 달성을 용이하게 지원합니다. 조직 재설계는 전략적 방향, 사업 구조, 의사 결정 구조, 내부 자원의 효율적 배치 등을 고려한 Top-Down 방식과, 조직 단위별 Mission 및 RACIs(Responsible, Accountable, Consultative, Informative)를 명확히 하는 Bottom-Up 방식을 동시에 고려하여 고객사에 가장 적합한 조직 구조를 설계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 역량 진단, 조직 역량 강화 로드맵 수립, 조직 구조 설계, RACIs Charting, 조직 프로세스 재설계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조직 역량 진단 (Organization Capabilities Assessment)
    2. 조직 역량강화 로드맵 수립
    3. 조직 구조 설계 (Organization Structure Design)
    4. RACIs Charting
    5. 조직 프로세스 재설계

성과관리

  • 전략적 성과평가제도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의 성과를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으로 기관의 경영목표 및 주요사업에 대한 조직성과관리 실현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s System) 구축합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성과관리에 대한 풍부한 이론적 기반과 프로젝트 수행경험을 토대로 도입목적과 실행에 따를 제약 이슈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전사, 사업부문, 팀 개인 단위의 성과평가지표와 성과관리체계를 제시합니다. 전략경영을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해 Performance Drive를 명확히 정의하고 평가시스템의 공정성, 타당성, 신뢰성,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전략과 지표, 지표와 Target, 조직과 개인의 유기적 연계성을 통합경영관점에서 바라보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전략적 성과관리체계 구축
    2. 전략 및 주요사업 연계 성과평가제도 설계
    3. 성과평가체계 구축, 성과평가지표 도출
    4. 성과관리 프로세스 설계
    5. 성과평가 결과의 인사제도 환류방안 마련

근무평정제도

  • 개인성과관리는 구성원들에 대한 성과 기대치와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성과목표를 달성하도록 구성원에게 부여된 업무에 대해 성과관리, 적절한 코칭, 요구되는 역량개발을 통해 성과지향적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키게 됩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고객사의 사업과 직무구성의 특성에 따른 개인 성과관리 지표와 프로세스, 인사제도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국내 및 Global 기업의 우수사례와 연구결과를 분석 반영한 고유의 역량모델을 통해 고객사의 입체적인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업적평가(부서 및 개인업적) 평가결과의 근무평정 연계
    2. 역량평가제도(지식, 스킬. 태도)
    3. 평정결과의 보상제도(금전적, 비금전적 보상) 연계 방안 마련

보상체계(임금)

  • 보상(임금)체계는 회사의 임금 경쟁력과 직원들의 동기부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쟁사 대비 임금수준의 전략적 적정수준확보, 직무가치와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 고정급과 변동급의 적절한 조화를 통한 임금체계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상(임금)체계 수립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인은 크게 5가지 입니다.

    첫째, 보상의 수준(Pay Level)은 어떻게 책정할 것인가?
    둘째, 보상의 구조(Pay Structure)는 어떠한가?
    셋째, 각 보상항목 별 비중(Pay Mix)은 어떠한가?
    넷째, 각 보상항목의 지급여부와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Pay Contributor)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다양한 보상제도의 적용대상은 어떻게 나눌 것인가? (Pay Group & Eligibility)

    그리고, 성과급 관리는 사전적 성과목표수준을 설정하여 직원들이 성과달성에 집중함으로써 조직성과 향상을 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관리수단입니다. 고객사의 재원조달방법, 적용대상, 대상별 평가기준 및 운영방법, 성과급지급기준을 고려하여 단기에 적용이 용이한 실행방안을 제시합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산업별 시장임금자료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종타사와 비교하여 적정임금수준을 설계하고, 전략적 임금관리방향을 제시합니다. 설계시 임금의 동기부여화(Motivation), 단순화(Simplicity), 탄력성 확보(Flexibility) 관점에서 접근하여 임금의 경쟁력 확보 및 동기부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성과급 설계는 산업별 다양한 성과급 설계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적의 재원조달방법, 성과평가지표 및 운영방법, 성과지급기준을 제시하고, 실제 운영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동기부여 및 성과향상에 몰입을 유도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보상전략 수립
    2. 기본급(Base Pay) 체계 및 운영방안 수립
    3. 성과급 체계 및 운영방안 수립
    4. 복리후생(Benefit Program) 및 특전제도(Perk Program) 수립

인력수립계획

  • HR을 기업 전략과 연결시키는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는 인력계획 수립입니다. 기업의 사업 의사결정은 늘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수요(Demand)와 공급(Supply)의 니즈를 동반합니다. 인력계획 수립은 비단 기업 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인적자원을 통한 성장 기회 확보와 역량 있는 구성원들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따라서, 점차 각광받고 있는 Smart Office 전략에서도 양적, 질적 측면을 고려한 인력계획의 수립과 인적자원 육성이 매우 중요한 축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고객사의 사업전략, 규모, 생산성 지표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한 거시적인 방법론과, 단위조직별 업무량 산정을 통한 미시적인 방법을 병행하여 고객사의 인력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미시적 방법론에 있어서는 직종을 구분하여 상이한 접근법을 활용함으로써, 업무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한 결과물을 제시하고, 또한 적정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단기/장기적인 실행방안, Outsourcing 방안에 대한 제안을 통해 실행력 있는 산출물을 제시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인력 수요 예측 (Demand Forecasting)
    2. Talent Portfolio 분석을 통한 인력 공급 예측 (Supply Forecasting)
    3. 질적/양적 인력계획 수립
    4. 적정인력 산정 및 Gap Closing 방안 마련

직무 및 직급관리

  • 직무(Job) 중심 인사관리로부터 시작하여 사람(Person)과 역량 중심의 인사관리로 이전해 온 반면, 국내는 사람 중심의 인사관리 관행이 오랫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직무 내용에 근간한 인사체계가 지니는 합리성과 채용부터 성과 및 역량관리, 경력개발에 이르는 제반 인사체계에서의 활용성에 기반한 직무 중심의 인사관리가 점진적으로 정착되고 있습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직무 정보를 수집하는 직무조사에서부터 조직 및 인사제도와 연계된 직무분류체계 수립, 직무등급(직급) 전환에 이르는 개선 방안을 제공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직무조사
    2. 직무분류체계 수립
    3. 직무 Profile 작성
    4. 직무중심 인사관리

직무중심 인사관리

  • 정책준수 관련하여 조직의 효율성 및 성과 중심의 공공기관 운영을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혁신 운영방안에 따라 기관 특성에 맞는 직무·성과중심의 제도 운영 등 공정성 확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직무중심 인사관리는 직무가 기준이 되어 인력을 운영하는 관리방식으로,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정보를 도출하여 체계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채용, 배치, 교육훈련, 경력개발, 평가, 보상 등의 인사관리를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속인주의 인사관리에서 직무중심 인사관리체계로의 변화로 조직 내에서 직무중심 인사관리체계 도입 및 정책을 위해서는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직무중심 인사관리 1단계 도입기반 마련: 내부협의체 구성 운영 및 정보공유, 직무조사 및 직무분류, 직무기술서 작성
    2. 2단계 인사분야 우선적용: 채용, 교육훈련, 경력개발 및 배치, 평가 등 우선 적용
    3. 3단계: 직무평가, 보수체계와 연계된 직무급 도입

직무평가

  • 직무와 성과 중심의 인사문화 정착을 중심으로 이를 통해 인적자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목표와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직무평가를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사 직무에 대한 표준화된 직무기술서 작성내용을 기반으로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직무평가 도구가 마련되고 있습니다. 직무평가의 정확성과 수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가장 세밀하고 발전된 형태인 ‘점수법’ 을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직무가치에 따른 공정한 평가 진행을 위한 합리적인 직무평가요소 및 가중치 선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직무평가요소 : 직책별 평가항목 차별화(보직자 직무평가 요소, 비보직자 직무평가 요소)
    2. 평가요소별 가중치 : 차등 가중치 반영
    3. 평가군 : 간부직(직책/업무특성 단위), 비간부직(대분류 단위 업무특성 고려)
    4. 평가자 : 간부직(상급자&동료/하급자 평가), 비간부직(상급자&동료평가) 등 직무특성을 반영한 평가자 구성
      평가등급 : 평가군별 동일 등급체계(3등급 이상) 체계

PMI(통합이후 사후관리)

  • 서로 다른 2개의 기업이 통합하는 경우, 가장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통합 이슈가 발생하는 영역은 조직과 인적자원 분야입니다. 흔히 Chemistry로 표현되듯, 이는 단순히 물리적 결합이 아닌 화학적 결합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이종 산업 간의 결합, 또는 전혀 상이한 전통과 Legacy를 지닌 기업 간의 통합이라면 이슈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됩니다. 지배적이고 주류적인 문화나 제도로의 통합이 가져오는 통합 후 갈등과 문제는 통합을 통한 장점을 상쇄하고도 남으며, 결과적으로 실질적인 통합 실패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통합 이전의 실사 뿐만 아니라, 통합 이후의 계획적이고 단계적인 실행계획이 필요합니다.

  • (주)가치경영원은 통합 준비단계에서부터 실사(Due Diligence) 단계, 통합계획(Integration Planning) 단계, 통합 후(Post-Integration) 단계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조직 및 HR 이슈를 해소하는 방안과 고객사의 역할을 제시합니다. 또한 제도적 영역은 물론 문화적 결합을 촉진하는 100일 계획 등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공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조직 및 HR Due Diligence
    2. Integration Risk Assessment
    3. 조직 및 HR PMI
    4. Cultural Integration 및 Communication
          1.  

인사관리

  • 기관의 인적 자원 관리 (HRM) 및 조직 개발 (OD)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성과 향상을 돕는 전문 서비스입니다. 주로 조직 문화 개선, 채용 및 평가 시스템 설계, 보상 및 복리후생 제도 설계,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주요 Service 및 Tools

    1. 채용
    2. 평가(성과평가, 근무평정)제도 구축
    3. 보상체계 설계
    4.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
    5. 승진, 이동배치, 퇴직 등 인사 관련 전반적인 시스템 구축 및 개선

공공부문 경영평가

(주)가치경영원은 공정하고 투명한 공공부문 경영평가를 통해 경영 혁신을 유도하고 책임 경영 체제를 확립하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와 내부 성과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합니다. (주)가치경영원의 공공부문 서비스는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이 혁신을 발 빠르게 추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영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 혁신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 평가는 다음의 주요 단계로 진행됩니다.

  • Phase 1. 평가단 구성 및 평가 준비: 기관 특성 및 지표 성격에 부합하는 전문성/책임성을 갖춘 평가 위원을 위촉하고, 평가 체크리스트 마련 및 평가단 워크숍을 통해 평가 준비를 완료합니다.
  • Phase 2. 경영평가 수행: 서면 평가(실적 보고서 평가 및 계량 지표 검증)와 현장 실사를 병행하여 진행하며, 평가 결과 종합 및 분석을 통해 점검 사항을 도출합니다.
  • Phase 3. 평가보고서 작성 및 결과 공유: 1차 평가 결과 산정 후 평가 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고, 기관 회람 및 이의 신청 검토를 거쳐 최종 평가 결과를 확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 Phase 4. 지표 개선 및 편람 작성: 기존 평가지표와 평가 방식 분석, 선진 사례 벤치마킹 및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통해 평가지표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편람을 확정합니다.

평가 시 발생 가능한 갈등 사항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갑질 방지 투명한 평가, 근거 기반의 정확한 평가, 3트랙 운영의 일정 관리로 효율적 평가, 웹 기반의 공유 및 소통 평가를 추진합니다.

민간위탁 성과평가

민간 위탁 성과평가는 위탁 사무 성과평가 및 서비스 성과평가를 통해 공공의 사업을 민간에서 추진함으로써 기대되는 정책 효과 창출 수준을 측정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위탁 사무 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책 성과 제고형 민간위탁 성과평가: 지방자치단체 정책 방향 및 사업 특성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민간 위탁 운영의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 창의행정 서비스 연계: 지방자치단체 정책과 연계된 사업 성과 지표 운영 및 시설별 현안에 따른 주요 사업 성과 과제 지표화를 추진하며, 시설 간 정보 및 프로그램 연계로 시너지를 창출하여 창의 행정 성과를 제고합니다.
  • 민간위탁 사무 운영 효율화: 수탁 기관 운영 효율화 관점에서 민간 위탁 사업의 지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 민간 위탁 사업의 효과성 창출을 통해 정책 성과를 높입니다.

조사설계 및 실사

(주)가치경영원은 만족도, 청렴도, 친절도, 지역 현안 조사, 실태 조사, 성과 조사 등 다양한 조사를 설계하고 안정적인 실사 운영을 위한 전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조사 방법론: 풍부한 인력(약 700명의 등록 조사원, 300명의 고정 조사원, 200명의 CATI 조사원)과 체계적인 실사 관리 시스템, 광역 네트워크, 자체 실사 조직을 통해 전국 단위의 실사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웹 모니터링 시스템과 녹취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조사를 수행하며, 실시간 청취 및 DB 저장된 녹취 파일 검색이 가능합니다. 실사-검증-데이터 분석의 전 과정에 걸쳐 전문 연구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사센터를 중심으로 평가 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방 소재 접점 모니터링은 지방 실사 조직과 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계하여 관리합니다.
  • 조사 내용: 외부 고객 만족도(PCSI 모델), 외부/내부 청렴도(권익위 모델), 친절도 등을 조사하여 서비스 제공 및 업무 수행 과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평가하며, 부패 방지 및 청렴도 제고를 도모합니다. 정책 사업의 효과를 파악하고 지역민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현안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정책 설계 및 입안의 기초 통계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산업 분야별, 연차별 객관적 현황 자료를 확보합니다.

지방재정 컨설팅 및 평가

(주)가치경영원은 지방자치단체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재정 운영을 위한 컨설팅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방보조금 관리평가 및 컨설팅: 지방자치단체의 민간 보조금 및 민간 위탁금 등 보조 관련 예산 규모 확대에 따른 관리 체계 강화를 지원하며, 부적정 집행에 대한 사전 점검 및 예방을 통해 재정 운용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제고합니다. 또한, 지방 보조 사업 집행 및 성과 평가를 통해 지방 보조금 유지 필요성을 평가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합니다. 재무, 회계, 노무 등 관련 전문가 지원과 보조 사업자 및 관리 부서에 대한 사전/사후 컨설팅 및 역량 강화 교육을 제공하여 재정의 효율적 집행 방안을 설계합니다.
  • 지방의회 운영 컨설팅: 효율적인 의회 운영을 위한 자치 법규 정비 및 제개정, 예산안 결산 분석 및 행정 사무 감사 지원, 의정/시정 현안 연구 및 분석 보고 등을 제공하여 의정 역량 강화를 돕습니다. 상위 법령 위반 및 제/개정 미반영 사항 분석, 자치 법규 입안 기준에 따른 현행 자치 법규 분석, 우수 조례 발굴 제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책과제 수행 및 기타서비스

(주)가치경영원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과제 수행과 기타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정책 유효성 평가: 예산이 투입된 시책과 제도의 투입 자원 대비 실효성을 평가하여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신규 사업 전개를 위한 타당성 분석을 지원합니다.
  • 직무 중심 인사관리: 기관의 사회적 책무 이행과 효율적인 인사 운영을 위해 직무 중심 인사 관리 체계를 구축합니다. 직무 정보를 수집하는 직무 조사부터 조직 및 인사 제도와 연계된 직무 분류 체계 수립, 직무 등급(직급) 전환에 이르는 개선 방안을 제공하며, 직무 분석을 바탕으로 직무 재분류 및 재정립을 지원합니다.
  • ESG 경영 체계 도입: 대내외 ESG 현안 분석 및 타 기관 우수 사례 분석을 통해 기관 특성을 반영한 ESG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ESG 경영 전략 체계 수립 및 실행 전략을 지원합니다.
  • 인권 영향 평가: 인권 경영 체계 도입과 관련하여 인권 영향 평가를 수행합니다.
  • 기타 서비스: 이슈 리포트 발간, 정책 연구 과제 수행, 조직 단위 성과 평가에 대한 투명하고 체계적인 지원, 개선 과제 이행 컨설팅, 경영 실적 보고서 작성 요령 등 직무 역량 강화 교육 등을 포함합니다.

SOLUTION

성과관리 전산시스템의 주요 기능

  • 전략 실행형 인프라 구축: 전사(본부-팀-개인)에 이르는 KPI 연계 및 업종에 따른 전략 및 성과지표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 성과 관리 및 평가 시스템의 공정성 확보: 실시간(Real-time)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개인의 역량을 높여 경쟁력을 제고합니다.

  • 온라인(On-Line)을 통한 즉시적인 접근 및 모바일 오피스 환경 제공: Paperwork 폐지 및 즉시적인 성과 정보 접근이 가능한 On-Line Reporting 정보 및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 성과 정보의 통합 관리 및 타 시스템과의 연계 기능 제공: 산업군별 KPI Pool을 제공하며, KPI 설정의 Best Practice 제공 및 실적 데이터 등을 정보 관리 및 ERP, 인사 정보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 기능을 제공합니다.

총인건비 시스템

  • 조직 전체 인건비 예산 및 집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 경영평가, 총인건비 제도 운영에서 필수적입니다.

  • 인건비 총액(예산) 대비 인력 변동, 인건비 집행 실적, 한도 초과/미달 현황 등 실시간 예측 및 사후 대책 수립이 가능합니다.

  • 경영평가, 인력운영 효율화, 예산통제와 연계되어 공공기관의 투명한 인사·예산 관리를 지원합니다.

 

Related Insights

공공기관의 직무중심 인사관리 도입 시 고려사항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확대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연공서열 중심의 인사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전환하여, 공정한 인사관리를 확립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지속가능한 동반성장, 차별화된 ESG 경영 실현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전략과 사례 ESG 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라는 비재무적 가치를 함께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 방식입니다.
[기고] 정책유효성 평가
정책유효성 평가제도는 정책을 폐지할 수 있는 필요 사항을 규정해 재정 낭비를 막아주는 제도다. 서울시는 23년 10월부터 예산 등을
Previous
Next
Subscribe